Database/SQLD 시험 준비
챕터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2 Entity의 특징과 분류
parkes811
2022. 11. 23. 00:03
- 엔터티의 개념
- 엔터티는 사람, 장소, 물건, 사건, 개념 등의 명사에 해당한다
- 엔터티는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에 해당한다.
- 엔터티는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 (Thing)이다.
- 엔터티와 인스턴스 : 엔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.
- 엔터티 표기법 (Barker 표기법)
엔터티를 표기하는 방법은 둥근 사각형 내 엔터티의 이름을 쓰고,
# 과 인스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이름을 써준다.
- 엔터티의 특징
-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.
-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.
-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.
- 엔터티는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.
- 엔터티는 반드시 속성이 있어야 한다.
-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.
특징 | 설명 |
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| - 반드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서 필요로 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여야 한다. |
식별이 가능해야 함 | - 인스턴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 해야 한다. |
인스턴스의 집합 | - 엔터티의 특징 중 "한 개"가 아니라 "두 개 이상" 이라는 집합개념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. - 하나의 엔터티는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포함한다. |
업무프로세스에 의해 이용 | - 업무 프로세스가 그 엔터티를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. -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CREATE, READ, UPDATE, DELETE *(CRUD) 등이 발생하지 않는 고립된 엔터티의 경우는 엔터티를 제거하거나 누락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추가해야 한다. |
속성을 포함 | - 엔터티에는 반드시 속성이 포함되어야 한다. - 속성을 포함하지 않고 엔터티의 이름만 가지고 있는 경우는 관계가 생략되어 있거나 업무 분석이 미진하여 속성정보가 누락되는 경우에 해당한다. |
관계의 존재 | -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. |
- 엔터티의 분류
유무(有無)형에 따른 분류 | ||
유형 | ex) 사원, 물품, 강사 | - 물리적인 형태가 있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터티로 업무로 부터 엔터티를 구분하기가 가장 용이하다. |
개념 | ex) 조직, 보험 상품 | - 물리적인 형태는 존재하지 않고 관리해야 할 개념적 정보로 구분이 되는 엔터티 |
사건 | ex) 주문, 청구, 미납 | -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엔터티로서 비교적 발생량이 많으며 각종 통계자료에 이용될 수 있다. |
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| ||
기본 (키) | ex) 고객, 상품 | -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로서 다른 엔터티와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이 가능하고 자신은 타 엔터티의 부모 역할을 하게 된다. |
중심 (메인) | ex) 주문, 배송 | - 기본 엔터티로부터 발생되고 그 업무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은 한다. - 데이터의 양이 많이 발생되고 다른 엔터티와 관계를 통해 많은 행위 엔터티를 생성한다. |
행위 (액션) | ex) 주문변경이력 | - 두 개 이상의 부모엔터티로부터 발생되고 자주 내용이 바뀌거가 데이터량이 증가한다. - 상세 설계단계나 프로세스와 상관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도출된다. |
- 엔터티의 명명
- 가능하면 현업업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.
-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.
- 단수 명사를 사용한다.
- 모든 엔터티에서 유일하게 이름이 부여되어야 한다.
- 엔터티 생성 의미대로 이름을 부여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