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tabase/SQLD 시험 준비

챕터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6 연습문제

parkes811 2022. 11. 29. 22:18

※ 정답과 해설을 드래그하시면 정답과 해설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문제 1. 다음 중 정보시스템을 모델링할  때 세 가지 관점에 해당하지 않는 것은

①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분석

② 업무가 실제하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분석

③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

④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분석

정답 : 

해설 : 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관점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모델링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구성과는 거리가 멀다. 


  • 문제 2. 데이터 모델링의 세 가지 중요개념에 속하지 않는것은

①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것 (Things)

②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것의 행위 (Events)

③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것의 성격 (Attributes)

④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것의 관계 (Relationships)

정답 : 

해설 : 업무가 관여하는 어떤것의 성격과 관계가 중요하다. ex) '박은서'라는 '고객'이 '주문'한다.


  • 문제 3. 발생시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엔터티의 유형이 아닌 것은

① 행위 엔터티 (Action Entity) 

② 중심 엔터티 (Main Entity)

③ 개념 엔터티 (Conceptual Entity) 

④ 기본 엔터티 (Basic Entity)

정답 : 

해설 : 개념 엔터티는 유무형에 따른 분류에 구분할 수 있는 엔터티


  • 문제 4. 이 속성이 없어도 다른 속성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속성의 이름은?

① 설계 속성 (Designed Attribute)

② 파생 속성 (Derived Attribute)

③ 기본 속성 (Basic Attribute)

④ 관계 속성 (Associative Attribute)

정답 : 

해설 : 파생속성은 다른 속성에 파생된 속성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.


  • 문제 5. 다음 중 엔터티의 특징에 포함되지 않는 것은?

①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다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여야 한다.

②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.

③ 엔터티는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.

④ 엔터티는 반드시 속성이 없어도 된다.

정답 : 

해설 : 엔터티는 반드시 속성이 존재해야 한다.


  • 문제 6. 다음 설명이 나타내는 데이터 모델의 개념은 무엇인가?
학생이라는 엔터티가 있을 때 학점이라는 속성의 값의 범위는 0.0에서 4.0 사이의 실수 값이며
주소라는 속성은 길이가 20자리 이내의 문자열로 정의할 수 있다.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① 도메인 (Domain)

② 용어사전 (Word Dictionary)

③ 속성사전 (Attribute Dictionary)

④ 시스템카탈로그 (System Catalog)

정답 : 

해설 : 도메인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범위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.


  • 문제 7. 엔터티간 1:1, 1:M과 같이 관계의 기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?

① 관계명 (Relationship Membership)

② 관계차수 (Relationship Degree/Cardinality)

③ 관계선택성 (Relationship Optinality)

④ 관계정의 (Relationship Definition)

정답 : 

해설 : 관계의 기수성을 나타내는 것은 관계차수라고 한다.


  • 문제 8. 관계를 정의할 때 주요하게 체크해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?

①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관심있는 연관규칙이 존재하는가?

②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정보의 조합이 발생되는가?

③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연결에 대한 규칙이 서술되어있는가?

④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명사 (Noun)가 있는가?

정답 : 

해설 : 명사가 아닌 동사 (Verb)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.

 


  • 문제 9. 식별자의 대체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은?

① 주식별자 - 보조식별자

② 내부식별자 - 외부식별자

③ 본질식별자 - 인조식별자

④ 단일식별자 - 복합식별자

정답 : 

해설 : 인조식별자는 업무적으로 존재하진 않지만 원조식별자가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임의로 만들어 원조식별자를 대체한다.


  • 문제 10. 다음 개념에 해당하는 관계는 어떤 관계를 설명한 것인가?
부모엔터티로부터 속성을 받았지만 자식엔터티의 주식별자로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속성으로만 사용한다.

① 식별자관계 (Identifying Relationship)

② 일반속성관계 (Attribute Relationship)

③ 비식별자관계 (Non-Identifying Relationship)

④ 외부식별관계 (Foreign Key Relationship)

정답 : 

해설 : 식별자관계는 부모엔터티로부터 상속을 받아 자식엔터티에서 주식별자로 사용하는 반면 비식별자는 위 설명처럼 일반적인 속성으(FK)로만 사용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