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데이터 모델링의 세 가지 요소
1.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(Things)
2. 어떤 것이 가지는 성격 (Attributes)
3.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간의 관계 (Relationships)
- 데이터 모델링 용어
개념 | 복수 / 집합 개념 타입 / 클래스 | 개별 / 단수 개념 어커런스 / 인스턴스 |
어떤 것 (Thing) |
엔터티 타입 (Entity Type) | 엔터티 (Entity) |
엔터티 (Entity) | 인스턴스 (Instance) 어커런스 (Occurrence) |
|
어떤 것 간의 연관 (Association between Things) |
관계 (Realtionship) | 패어링 (Paring) |
어떤 것의 성격 (Characteristic of a Thing) |
속성 (Attribute) | 속성 값 (Attribute Value) |
- 학생이라는 엔터티(엔터티 타입)에 '홍길동'이라는 엔터티(인스턴스, 어커런스)
- 여러개로 불려 용어가 헷갈리므로 엔터티와 인스턴스로 기억!
- 데이터 모델링 표기법은 IE 표기법과 Barker 표기법이 있다.
- 데이터 모델링 작업 순서
1. 엔터티를 그린다.
2. 엔터티를 배치한다.
3. 엔터티간 관계를 설정한다.
4. 관계명을 기술한다.
5. 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.
6. 관계의 필수 여부를 기술한다.
-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관계자
*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모든 사람은 완성된 모델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.
해당 업무에서 정보화를 추진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도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개념 및 세부사항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함.
- 좋은 데이터 모델의 요소
요소 | 설명 |
완전성 | -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가 모두 정의되어야 함 |
중복 배제 | - 동일한 사실은 한번만 저장 해야함 |
업무 규칙 | - 데이터 모델 분석만으로도 비즈니스 로직이 이해되어야 함 |
데이터 재사용 | - 데이터 통합성과 독립성을 고려해야 함 |
의사소통 | - 데이터 모델을 보고 이해 당사자들끼리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함 |
통합성 | - 동일한 데이터는 유일하게 정의해서 다른 영역에서 참조해야 함 |
'Database > SQLD 시험 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챕터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4 Relationship의 정의, 패어링, 표기법 (0) | 2022.11.26 |
---|---|
챕터 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3 Attribute의 개념, 특징, 분류 (0) | 2022.11.23 |
챕터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2 Entity의 특징과 분류 (0) | 2022.11.23 |
챕터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1 데이터 모델의 이해(2) (0) | 2022.11.21 |
챕터0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1.1 데이터 모델의 이해(1) (0) | 2022.11.21 |